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의병근거지 - 상원사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 국내항일운동사적지 |
---|---|
운동계열분류 | 의병전쟁 |
종류 | 건물 |
상태 | 복원 / 1907년 일본군에 의해 법당만 남은 채 소실되었다가, 1918년 복원되고 1934년에 신축되었으나 6.25 용문산 전투로 전소하였다. 이후 수차례 중건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 앞에 국가보훈처 현충시설 안내판이 있다. |
정의 | 1907년 8월 일본군의 보복으로 소실된 의병의 근거지였던 곳 |
관련정보
관련 사건 | 양평의병 |
---|---|
관련 조직 | |
관련 인물 | 조인환(曺仁煥), 권득수(權得洙), 이연년(李延年) |
관련 내용 |
1907년 군대해산으로 해산병들은 지방으로 투입되어 의병과 합류함으로써 의병의 역량을 배가시켰다. 이러한 시대 상황에 부응하여 양평군에서도 의병투쟁은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조인환(曺仁煥)·권득수(權得洙)·이연년(李延年) 등은 용문사로 근거로 일본군을 괴롭혔다. 이에 아카시[明石] 지휘하의 일본군은 1907년 8월 24일 용문산 일대의 의병에 대한 진압작전을 펼치면서 용문사를 소각한데 이어서 상원사에서도 다량의 식량과 절을 함께 방화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들 일본군은 광탄리, 고양 등지에 토벌을 자행한 후 서울로 돌아갔다. |
참고 문헌 |
「이연년(李延年) 판결문」, 1908.05.22. (CJA0000021)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조인환 / 권득수 / 이연년 공적조서」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한국폭도봉기의 건」, 『독립운동사자료집』 별집 1, 1985, 985~986쪽. 양평군, 『양평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1999, 340~342쪽. 양평군지편찬위원회,『양평군지』, 양평군, 2005, 366, 481, 594쪽. 김상기, 「한말 양평에서의 의병항쟁과 의병장」, 『역사와 담론』 37, 2004. |
지역정보
당시 주소 | 경기도 지평군 상서면 연수리 |
---|---|
주소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상원사길 292 |
도로명 주소 | |
위치 고증 | 「한국폭도봉기의 건」에 관련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현재 상원사는 중건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또한 양평군청 문화유산팀장으로 관련 업무를 오랫동안 담당하였던 이강웅(현 교육혁신팀장)의 증언으로 위치를 확인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