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보창학교 터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 국내항일운동사적지 |
---|---|
운동계열분류 | 한말구국운동 |
종류 | 건물 |
상태 | 멸실 / 보창학교 본교 위치는 동영, 진위대 영사(열무당), 이아로 이전하였다. 동영과 열무당 모두 현재 건물이 남아있지 않으며 강화유수부 이방청은 남아있다. |
정의 | 이동휘가 1904년 세운 육영학교(1905년 이후 보창학교)가 있던 곳 |
관련정보
관련 사건 | 강화 계몽운동 |
---|---|
관련 조직 | |
관련 인물 | 이동휘 |
관련 내용 |
사립보창학교는 1904년에 8월에 강화 진위대 대대장 이동휘가 읍내 선교계 사립학교들의 영향을 받아 국민개학의 뜻을 이루고자 설립한 육영학교에서 출발했다. 이동휘는 1905년 3월에 군직에서 물러났고 읍내 잠두교회에서 기독교 감리교로 개종한 후 강화지역 교육진흥운동에 매진했다 이어 5월에 고종은 보창학교라는 교명과 내탕금을 하사하였고 경리원에서도 학교 재정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보창학교는 설립된 지 2년 안에 초등․고등소학과, 보통과, 여학과, 사범과 및 어학과정을 신설하여 강화지역의 주요 학교로 자리잡았다. 1907년 여름 일본군에 의해 파괴되었지만 1908년 2월에 다시 재건되었다. 이후 보창학교를 주축으로 한 강화지역 의무교육안이 마련되었고, 보창학교는 사범속성과와 중학과 졸업생을 배출하는 등 1910년까지 강화지역 교육을 선도하였다. 하지만 1910년 병탄 이후에 재정난을 겪다가 1915년에 문을 닫게 된다. |
참고 문헌 |
경기도사편찬위원회, 『경기도항일독립운동사』, 경기도편찬위원회, 1995, 499쪽. 박헌용, 『續修增補 江都誌』 상, 1932, 326쪽 김형목, 「대한제국기 강화지역의 사립학교설립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24, 2005 김성학, 「한말 강화지역 사립보창학교의 등장과 성장」, 『한국교육사학』36, 2014 김성학, 「한말 강화 사립보창학교의 교육과정 운영과 성과」, 『한국교육사학』40, 2018 |
지역정보
당시 주소 | 경기도 강화읍 관청리 |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동문안길20번길 16 (동문안길20번길 16, 강화대로440번길 10, 북문길 42) |
도로명 주소 | |
위치 고증 | 보창학교 본교는 과거 강화 진무영 동영(東營) 자리에 설립되어 1907년에 진위대 영사 자리로 이전했다. 모두 과거 군영이 있던 곳이었다. 이후 보창학교는 1911년 구 이아(貳衙) 건물로 이전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