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석포리 3·1운동 만세시위지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내항일운동사적지
운동계열분류 3·1운동
종류 건물
상태 변형 / 현재 온수리 성공회 성당은 남아있지만 증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시위가 일어났던 교당 뒷산은 현재 교당주위의 해명산으로 추정된다.
정의 1919년 4월 8~10일 세 차례에 걸쳐 강화군 석포리에서 만세운동이 일어난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강화 3·1운동
관련 조직  
관련 인물 김동헌(金東憲), 유경식(劉瓊植),유석면(劉錫冕), 김여원(金汝元), 김도경(金道經), 유복구(劉福龜), 한용암(韓容岩), 고복천(高福天).
관련 내용 삼산면 석포리에서는 삼산면 서기 유경식(劉瓊植)이 숙부이자 성공회신자인 유석면(劉錫冕)과 상의한 후 김여원(金汝元), 김도경(金道經), 유복구(劉福龜), 한용암(韓容岩), 고복천(高福天) 등의 찬동을 얻어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이들은 1919년 4월 8일 오후 9시경 삼산면 석포리 성공회 교당 앞에서 주민 수십 명과 만세를 불렀다. 이어 밤 9시에는 교회당 뒤 산꼭대기에서 주민 20명이 함께 화톳불을 피우고 독립만세를 불렀다.
이 시위는 성공회 신자와 이 지역 감리교 학교의 교장 등 기독교인들이 연합하여 전개한 것이었다. 주민들은 10시경 경찰의 설득으로 해산했지만 동리의 시위는 9일과 10일에도 이어졌다. 4월 8일과 9일에 이어 4월 10일 밤에도 삼산면 석포리에서는 유경식이 주도하여 만세시위가 벌어졌다. 삼산면장 김동헌(金東憲)은 석포리 시위에는 어린 학생보다 성년이 많이 참가했다고 진술했다. 석포리의 시위는 석모리로 이어졌고 바다를 건너 양도면으로 옮겨갔다.
참고 문헌 大正8年刑第930號, 「유봉진 등 39명 판결문」,1919년 12월 18일 (CJA0000416)
강화군 군사편찬위원회, 『신편강화사』 상, 2003, 653쪽.
국사편찬위원회, 「江華島 萬歲示威事件 警察訊問調書」, 『韓民族獨立運動史資料集』 26권 三一運動 16, 1996.
김성민, 「강화지역 3·1운동의 전개와 성격」, 『한국근현대사연구』22, 2002, 27쪽.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기도 강화군 석포리
주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삼산동로 17-8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에 1919년 4월 8~10일 석포리 천주교당 앞 만세운동 사실이 기재되어 있다. 2019년 7월 23일 강화 조사 시 천주교당과 앞 교회당 뒤편 산의 위치를 확인했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