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강화의병 전투지 - 산이포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 국내항일운동사적지 |
---|---|
운동계열분류 | 의병전쟁 |
종류 | 거리 |
상태 | 변형 / 산이포는 민통선지역으로 출입제한과 군부대의 활용 등으로 옛 모습을 찾기 어렵다. |
정의 | 1907~1908년에 걸쳐 강화 의병이 일본군과 교전을 벌였던 곳 |
관련정보
관련 사건 | 1907년 한국군 해산 |
---|---|
관련 조직 | |
관련 인물 | 이능권(李能權) |
관련 내용 |
1907년 해산된 강화진위대의 군인들이 의병으로 전화되어 1908 4월, 6월, 8월 산이포에서 약 30여 명의 의병이 일본군과 교전을 벌였다. 1908년 4월 15일에는 총기를 휴대한 의병 약 30여 명이 배로 산이포에 들어와 활동하고, 1908년 6월 20일에는 일본 풍덕 분견대와 교전하여 의병 7명이 전사하기도 하였다. |
참고 문헌 |
『대한매일신보』, 1907년 8월 18일자, 「江華光景」. 국가보훈처, 『독립운동사자료집별집』1, 1970, 80~81쪽. 「조선폭도토벌지」, 『독립운동사자료집』 3, 746-749쪽. 강화군사편찬위원회, 『신편 강화사』 상, 강화군, 2003, 607쪽. 경기도사편찬위원회, 『경기도항일독립운동사』, 경기도편찬위원회, 1995, 57~58·151~161쪽. 경기도사편찬위원회, 『경기도사』 6-한말, 경기도사편찬위원회, 2004, 229~231·238~239·264~268쪽. 최취수, 「1910년 전후 강화지역 의병운동의 성격」,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 1988, 71쪽·76쪽. |
지역정보
당시 주소 | 경기도 강화군 양사면 철산리 |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사면 철산리 668 일대 |
도로명 주소 | |
위치 고증 | 「조선폭도토벌지」에 1907년 4월 강화 서북 약 20리 방향에서 산이포 의병 토벌에 관한 기록이 있다. 현재 민간인 통제지역으로 철조망이 쳐 있어 자세한 확인이 어려운 상황이다. 2019년 조사 시 노인회장 서정윤이 철조망 너머 해변 지역에 접안 시설이 있다고 증언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