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범어사 청련암 3·1운동 만세시위 계획지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내항일운동사적지
운동계열분류 3·1운동
종류 건물
상태 멸실 / 청련암은 신축된 듯 보였으며 명정학교(지방학림) 건물은 조사 당시 신축공사가 한창이었다.
정의 1919년 3·1운동 당시 동래장터 만세시위가 계획되었던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관련 조직  
관련 인물 김법린(金法隣)/김상헌(金祥憲)/오성월(吳星月)/이담해(李湛海)/김한기(金漢琦)/김영규(金永奎)/김상기(金相琦)/차상명(車相明)/김봉환(金奉煥)/오이산(吳梨山)
관련 내용 1919년 3월 4일 불교계 학생대표 및 연락책이었던 김법린과 김상헌이 범어사 청련암에서 동래장터 만세시위에 대하여 계획하였다. 3월 7일 야간에 범어사 승려들이 동래장터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하고 동래경찰서로 돌진하여 무력시위를 벌였다가 대부분 체포되었다. 3월 17일에는 범어사 학승들이 졸업생 송별연의 명목하에 청련암에서 회식을 하면서 거사를 모의한 후 18일 새벽 동래장터에 집결하였으나 명정학교 학생 오계운의 밀고로 시위는 실패하였다. 이에 18일 밤 40여 명의 학승들이 동래읍성 서문에서 남문에 이르기까지 만세시위를 한 후 자진해산하였다. 다음날 19일에는 3차례에 걸쳐서 동래장터에서 만세시위를 한 후 참가한 학승들은 대부분 체포되었다.
참고 문헌 「동래군 북면 청룡동 지적원도」,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1912.
「김영규 등 판결문」, 대구복심법원, 1919년 5월 20일.
「김영규 판결문」, 고등법원, 1919년 7월 10일.
채상식, 「한말, 일제시기 범어사의 사회운동」, 『한국문화연구』4, 부산대한국문화연구소, 1991, 160-164쪽.
강대민,『 부산지역학생운동사』, 국학자료원, 2003, 56-57쪽.
금정중학교,『 금정중학교 100년사』, 새부산문화사, 2006, 90-98쪽.
송진모, 「일제하 김법린의 불교혁신론과 범어사」, 부경대교육학석사논문, 부경대교육대학원, 2007, 62-67쪽.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상남도 동래군 북면 청룡동 567
주소 부산 금정구 청룡동 567
도로명 주소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46
위치 고증 「김영규 등의 판결문」을 통해 관련 사실을 확인하였고, 「동래군 북면 청룡동 지적원도」를 통해 위치를 확인하였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