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구포장터 3·1운동 만세시위지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내항일운동사적지
운동계열분류 3·1운동
종류 거리
상태 변형 / 만세시위가 있었던 시장터는 구포1치안센터와 주차장 등으로 변해 있다.
정의 1919년 3월 29일 구포지역 청년 유지들의 주도로 만세시위가 일어난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1919 3·1운동
관련 조직  
관련 인물 양봉근/임봉래/윤경/박영초/이수련/박덕홍/손진태/김장학/이몽석/양태용/김영길/정치호/권용학/안화중/허희중/김옥겸/윤정은
관련 내용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 양봉근(梁奉根)은 구포면 서기 임봉래(林鳳來)와 윤경(尹涇) 등과 1919년 3월 27·28일 박영초(朴永初)·이수련 집에 모여 3월 29일 구포장날을 거사날로 정하는 한편, 거사를 위해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제작하고, 대형 태극기 하나와 '대한독립만세'라고 크게 쓴 현수막도 만들었다.

3월 29일 정오 박덕홍(朴德弘)·손진태(孫晉泰)·김장학(金章鶴)·이몽석(李夢石)·양태용(梁太溶)·김영길(金永吉)·정치호(鄭致浩)·권용학(權龍鶴)·안화중(安華重)·허희중(許希中) 등 청년동지들과 비밀리에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나누고 장꾼 1,000여 명과 더불어 '대한독립만세'를 연이어 크게 외쳤다. 시장은 삽시간에 흥분과 감격의 도가니로 화하였다.

안화중은 시위를 위하여 시장 철시를 호소하면서 장꾼을 지휘하였고 김윤길(金潤吉) 등은 구포면사무소로 달려가 면장에게 민족적 양심으로 뉘우치고 동참할 것을 촉구하였다. 그후 김옥겸(金玉兼) 외 11명의 주도인물이 구포주재소에 구금되자 임봉래·윤정은(尹正殷) 등은 이들의 석방을 요구하며 주재소로 돌진하여 구금된 동지들을 구출하려고 하였다. 일제 경찰들은 시위군중들에게 무차별 총탄을 퍼붓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 군경 3명과 한국인 경찰 1명이 중상을 입었고, 시위 군중들 중에는 9명의 부상자가 생겼다. 재판에 회부된 인물은 42명으로 대부분이 20~30대의 청년들이었다.

부산광역시 북구청지명위원회에서는 광복5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1995년 9월 28일 구포역 앞(구포제1파출소) - 구포시장통 - 대리천 복개도로까지 전장 800m, 폭 8m 도로를 구포 만세거리로 지정하였다.
참고 문헌 「토지대장」.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부산부 구포동 지적원도」, 1913.
「김옥겸 등 42명 판결문」, 1919년 7월 16일,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독립운동에 관한 건」, 1919년 3월 30일,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 1;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상남도 동래군 구포면
주소 부산 북구 구포동 1154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조선소요사건관계서류』과 「김옥겸 등 42인의 판결문」 등에 관련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부산부 구포동 지적원도」 및 「폐쇄지적도」, 그리고 동네 주민들과 부산낙동문화원장 백이성씨의 증언을 통해서 위치를 확정하였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