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명호장터 3·1운동 만세시위지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내항일운동사적지
운동계열분류 3·1운동
종류 거리(시장)
상태 변형 / 시장은 이미 이전하고, 당시 시장터는 현재 영강마을 노인회관 옆 주차장 터를 중심으로 한 공터로 굉장히 협소한 상태이다.
정의 1919년 4월 10일 김해군 명지면의 사립 동명학교 교사 이진석과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독립만세시위를 벌인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1919.4.10 김해군 명지면 명호장터 독립만세시위/1914.4.11 김해군 명지면 진목리 독립만세시위
관련 조직  
관련 인물 이진석(李鎭奭)/김연복(金淵福)/양왕석(梁旺錫)/김영두(金榮斗)/이규회(李圭恢)/지봉구(池鳳九)/김청천/서갑순
관련 내용 사립 동명학교 교사 이진석(李鎭奭)은 동창생 김연복(金淵福, 경성약학전문학교 학생)에게서 독립선언서를 입수하여 동창생 양왕석(梁旺錫)·김영두(金榮斗)·이규회(李圭恢)·지봉구(池鳳九) 등과 의거를 논의하고, 4월 9일 밤에 양왕석과 철야로 태극기를 만들고 독립선언서를 베꼈다.

4월 10일 이진석은 동지들과 함께 동명학교 학생 김청천·서갑순 등을 명호장터로 부르고 장꾼이 가장 많이 모인 오후 2시경에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나눠주면서 대한독립만세를 선창하자, 200여 명의 군중들이 일제히 호응하여 독립만세를 외쳤다.

일본 헌병들이 출동하자 이진석·양왕석·이규회 등은 피신하였으나, 이들은 4월 11일 명지면 진목리에서 일어난 만세시위 때 검거되었다.
참고 문헌 朝鮮總督府 臨時土地調査局, 「金海郡 鳴旨面 中里 地籍原圖」, 1913.
「김영두 등 6인 판결문」, 1919년 6월 19일,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3, 1971, 221~222쪽.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9, 1977, 226쪽.
이병태, 「김해지방의 3·1운동」, 『경상남도 각 시군의 3·1독립운동』, 경상남도향토사연구협의회, 1999, 130~132쪽.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상남도 김해군 명지면 중리 27
주소 부산 강서구 명지동 1377
도로명 주소 부산광역시 강서구 영강길19번길 21-6
위치 고증 「김영두 등 6인 판결문」에 관련 사실이 수록되어 있다. 「김해군 명지면 중리 지적원도」를 통해 명호장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영강마을 노인들의 구술 및 증언을 통해서도 명호장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