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남제주 강병대교회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가수호사적지
운동계열분류 후방지원작전
종류 건물
상태 원형보존 / 전쟁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정의 1952년 5월에 준공된 군인 교회로 당시 훈련소장이었던 장도영 장군이 신앙의 힘으로 훈련생들의 정신력을 강화하기 위해 건축한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중공군 참전
관련 조직 육군 제1훈련소(강병대) 
관련 인물 장도영 소장
관련 내용 강병대(强兵臺)교회는 1951년 3월 21일 육군 제1훈련소가 모슬포에서 출범된 이후 이곳에서 훈련을 받는 장병들의 정신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당시 훈련소장이었던 육군 소장 장도영에 의하여, 제주현무암 석조의 목조 함석 지붕으로 300㎡의 규모로 1952년 5월에 건립되었다.

제1훈련소는 북한군에 밀려 퇴각하던 1951년 1월 문을 연 뒤 국군 신병을 배출해 서울 재탈환 등 반격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곳에는 1956년까지 대략 50만 명의 신병들이 훈련받았으며 이들 중 많은 장병들이 강병대교회를 거쳐 갔다. 육군 제1훈련소인 강병대가 창설되면서부터 이승만 대통령을 비롯한 많은 정부 요인과 외국 사절단들이 강병대교회를 방문한 바 있다.

1952년에는 교회부설 샛별유치원이 개원되어 장병들이 직접 봉사활동을 전개하였고, 1965년부터는 공군 제8456부대의 기지교회로 사용되면서 교회부설 신우고등공민학교를 열어 1981년 폐교될 때까지 장병들이 교사가 되어 지역 청소년들의 향학열을 일깨워주기도 했다. 이와 같이 강병대교회는 동족상잔의 비극인 6·25전쟁의 산교육장일 뿐만 아니라 지역의 향학열을 충족시켰던 교육장이자 주요한 군사유적지로서의 가치가 큰 곳이다. 현재 등록문화제 제38호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 문헌 <강병대교회 설립취지문>. 「역사의 아픔, 길에서 찾다」,《 연합뉴스》, 2009년 1월 21일.
「등록문화제 제38호 자료」,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RegCulresult_Db_View.jsp?mc=KS_01_02_03&VdkVgwKey=98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제주도 남제주군 대정읍 상모리
주소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3846
도로명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대서로 43-3
위치 고증 「강병대교회 설립취지문」과 문화재청 홈페이지「등록문화제 제38호 자료」에 의하면, 6·25전쟁기간 1952년 5월 훈련소장인 장도영 장군의 지시로 국군 공병대가 제주도 상모리에 군 교회를 건축하여 당시 국군 훈련병뿐만 아니라 많은 유엔군 장병들이 참여하였음이 확인된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